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Drainage trap structure
욕실 바닥의 잡배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취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다단으로 수봉되는 배수육가(1)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수육가(1)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H1)와 배출구(H2)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H1)와 배출구(H2) 사이의 집수공간에 하향 돌출 형상의 하향격벽(25, 27)과 상향 돌출 형상의 상향격벽(115, 117)의 사이에서 잡배수에 의해 수봉되며, 상기 유입구(H1) 및 배출구(H2)와의 상대적인 관계에서 유입구(H1) 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내측 수봉과 배출구(H2) 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외측 수봉을 포함하여 적어도 2개의 수봉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수봉의 형성과 관련된 상향격벽(115)은, 상기 유입구(H1)를 통해 유입된 잡배수가 넘쳐 흘러갈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잡배수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잡배수가 잠기는 하측에 통공 형상의 바이패스로(115h)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에어포켓(A)을 수반하는 다단 수봉 구조에서 욕실이나 화장실 바닥의 물고임 현상없이 원할히 잡배수를 배출할 수 있으며 보다 낮은 높이의 배수육가를 제공함으로써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 슬라브층(S)이나 몰탈층(M)이 적정 범위 이상으로 두꺼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층상 배관용 바닥 슬라브층의 형성에 유리하다.
Drainage trap structure
욕실 바닥의 잡배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취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다단으로 수봉되는 배수육가(1)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수육가(1)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H1)와 배출구(H2)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H1)와 배출구(H2) 사이의 집수공간에 하향 돌출 형상의 하향격벽(25, 27)과 상향 돌출 형상의 상향격벽(115, 117)의 사이에서 잡배수에 의해 수봉되며, 상기 유입구(H1) 및 배출구(H2)와의 상대적인 관계에서 유입구(H1) 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내측 수봉과 배출구(H2) 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외측 수봉을 포함하여 적어도 2개의 수봉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수봉의 형성과 관련된 상향격벽(115)은, 상기 유입구(H1)를 통해 유입된 잡배수가 넘쳐 흘러갈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잡배수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잡배수가 잠기는 하측에 통공 형상의 바이패스로(115h)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에어포켓(A)을 수반하는 다단 수봉 구조에서 욕실이나 화장실 바닥의 물고임 현상없이 원할히 잡배수를 배출할 수 있으며 보다 낮은 높이의 배수육가를 제공함으로써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바닥 슬라브층(S)이나 몰탈층(M)이 적정 범위 이상으로 두꺼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층상 배관용 바닥 슬라브층의 형성에 유리하다.
Drainage trap structure
배수육가
KEEYOUNG UM (author) / HA HUNIL (author)
2024-03-12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3F
SEWERS
,
Abwasserkanä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