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Drainage trap structure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에 설치되어 잡배수가 수봉되면서 물고임 없이 보다 신속하게 잡배수가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의 배수육가(1)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수육가(1)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H1)와 배출구(H2)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H1)와 배출구(H2) 사이의 집수공간에 하향 돌출 형상의 하향격벽(25, 27)과 상향 돌출 형상의 상향격벽(115, 117)의 사이에서 잡배수에 의해 수봉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향격벽(117)을 넘쳐 흐른 잡배수가 배출구(H2)를 향해 유속이 커지도록 높이차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된 사면배수로(1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하향격벽(25, 27)과 상향격벽(115, 117) 사이에서 취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수봉됨과 동시에 사면배수로(118)를 통해 잡배수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욕실이나 화장실 바닥의 물고임 현상없이 빠르게 잡배수를 배수할 수 있다.
Drainage trap structure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에 설치되어 잡배수가 수봉되면서 물고임 없이 보다 신속하게 잡배수가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의 배수육가(1)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수육가(1)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으로부터 잡배수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H1)와 배출구(H2)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H1)와 배출구(H2) 사이의 집수공간에 하향 돌출 형상의 하향격벽(25, 27)과 상향 돌출 형상의 상향격벽(115, 117)의 사이에서 잡배수에 의해 수봉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향격벽(117)을 넘쳐 흐른 잡배수가 배출구(H2)를 향해 유속이 커지도록 높이차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된 사면배수로(1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하향격벽(25, 27)과 상향격벽(115, 117) 사이에서 취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수봉됨과 동시에 사면배수로(118)를 통해 잡배수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욕실이나 화장실 바닥의 물고임 현상없이 빠르게 잡배수를 배수할 수 있다.
Drainage trap structure
배수육가
KEEYOUNG UM (author) / HA HUNIL (author)
2024-03-12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3F
SEWERS
,
Abwasserkanä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