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storage facility having unit block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에 내부는 빈 공간을 가지고 육면을 이루는 벽체 가운데 적어도 서로 접하는 2개의 벽체에 형성된 연결구멍을 통해 빈 공간은 외부와 통하도록 개방되며, 직육면체의 서로 직각인 3축 방향 가운데 적어도 2개 축 방향으로 벽체에 선형 긴장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용 홀을 가지며, 홀을 통해 단위 블럭을 관통하는 긴장재가 서로 만나지 않고 어긋난 위치가 되도록 홀의 위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블럭과, 이 단위 블럭 복수개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저류조로서, 3축 방향 가운데 적어도 1개의 축 방향으로 각각 3개 이상 배열되는 복수 개의 단위 블럭과, 적어도 1개의 축 방향으로 3개 이상의 배열된 단위 블럭의 결합용 홀들로서 일직선상에 있는 결합용 홀들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긴장재와, 이 긴장재에 결합되어 단위 블럭과 결합된 상태로 이 긴장재에 텐션을 주는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저류조가 개시된다.
storage facility having unit block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에 내부는 빈 공간을 가지고 육면을 이루는 벽체 가운데 적어도 서로 접하는 2개의 벽체에 형성된 연결구멍을 통해 빈 공간은 외부와 통하도록 개방되며, 직육면체의 서로 직각인 3축 방향 가운데 적어도 2개 축 방향으로 벽체에 선형 긴장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용 홀을 가지며, 홀을 통해 단위 블럭을 관통하는 긴장재가 서로 만나지 않고 어긋난 위치가 되도록 홀의 위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블럭과, 이 단위 블럭 복수개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저류조로서, 3축 방향 가운데 적어도 1개의 축 방향으로 각각 3개 이상 배열되는 복수 개의 단위 블럭과, 적어도 1개의 축 방향으로 3개 이상의 배열된 단위 블럭의 결합용 홀들로서 일직선상에 있는 결합용 홀들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긴장재와, 이 긴장재에 결합되어 단위 블럭과 결합된 상태로 이 긴장재에 텐션을 주는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저류조가 개시된다.
storage facility having unit block
단위 블럭을 구비한 저류조
19.03.2021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3F
SEWERS
,
Abwasserkanäle
Europäisches Patentamt | 2022
|Europäisches Patentamt | 2022
|Europäisches Patentamt | 2022
|